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으로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내손안에서울

라이브 서울

검색

프로그램 상세

영상 상세

노들섬디자인 디자인공모 노들섬
세계적 건축가가 그린 노들섬의 미래는? | 노들 예술섬 디자인 공모 대시민 포럼
2023-04-20 17:10~19:25 8층 다목적홀

  • 다운로드
  • 공유하기
  • 좋아요

-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방안' 따라 디자인 기본구상안 계획수립 전 시민들과 사업 취지?방향 공유 목적
- 노들섬의 미래를 상상한 국내외 건축가 7인의 디자인 작품설명 및 질의응답 진행
- 오는 5월, 시민들이 각 작품의 모형과 작품설명 영상을 관람할 수 있는 전시회도 마련
- 향후 디자인안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자문과 시민의견 수렴 통해 기본계획 수립예정

□ 이날 디자인 포럼에 참석한 건축가 7명은 ① 강예린+SoA ② 위르겐 마이어(Jurgen Mayer H. / J.MAYER H. und Partner, Architekten mbB, 독일) ③ 나은중?유소래(네임리스 건축사사무소) ④ 비양케 잉겔스(Bjarke Ingels / BIG, 덴마크) ⑤ 신승수(디자인그룹오즈) ⑥ 토마스 헤더윅(Thomas Heatherwick /Thomas Heatherwick Studio, 영국) ⑦김찬중(더시스템랩)이다.
00:00 시작
12:25 ① 강예린·SoA “Nodeul Aqua Palette palette”
물, 숲과 나무, 하늘 등 노들섬에 존재하는 자연요소를 병치, 혼합하여 새로운 오픈 스페이스 구현
○ 작품 설명
- 노들섬이 한강에서 단절된 채 존재하고 있고, 이런 경계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둬 기존의 재료 혹은 색을 섞어서 새로운 것을 만들고 조합하는 판인 팔렛트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한강의 물, 숲과 나무, 하늘 등 노들섬에 이미 존재하던 자연의 요소들을 병치, 혼합해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자 함
- 현재 맹꽁이 숲을 나무를 통해 더욱 풍성하게 하고, 팔레트를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함. 아쿠아 팔레트는 동측에서 서측으로 물이 흐르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물은 노들섬 내 녹지공간과 맹꽁이 숲에 활용
- 노들섬을 5가지 구역으로 나누어, 모래사장, 테라스, 식물원, 전망대, 수상활동 공간 등 다양한 체험과 활동 공간을 제공

26:14 ② 위르겐 마이어 “Nodeul Art Island”
노들섬 전망대와 강북에서 연결하는 연결로를 하나의 컨셉으로 워터타워, 스케이트 파크, 수상무대 등 다양한 시설 제안
○ 작품 설명
- 노들섬을 불, 공기, 흙, 물 등 자연 요소가 겹겹이 어우러진 다양한 분위기로 연출하고자 함
- 서측, 좌측에서부터 불의 요소로 상징되는 열정적인 축제 분위기를 만들고, 그다음 공기의 요소로 구름의 이미지를 형상화했으며, 동측의 흙은 기존의 맹꽁이숲을 보존하면서 인간과의 공존을 목표로 하고, 마지막으로 동측 끝은 물의 요소로서 다양한 수변공간을 연출
- 서측에는 야외 휴식공간과 문화행사 공간 등이 있고, 동측에는 수상레저 공간을 배치, 특히 워터타워는 우리나라 전통탑의 이미지를 형상화

44:00 ③ 나은중·유소래 “산들노들”
‘백로가 노닐던 징검돌’이라는 유래를 지닌 ‘노들섬’ 위에 문화예술을 담는 징검돌을 거닐며 자연과 예술을 경험하고 바람처럼 사람들을 이끌고자 함
○ 작품 설명
- 노들섬을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섬으로 만들고자 산들노들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존 노들섬에 문화예술을 담는 징검돌 디자인을 형상화
- 노들섬이 ‘백로가 노닐던 징검돌’이라는 말에서 유래했고, 징검돌을 형상화해 다양하고 재미난 공간을 창출
- 북측으로 연결보행교가 있고, 가운데 방문자센터를 중심으로 서측에는 노을전망대, 야외예술무대, 원형극장 등을 배치하고, 동측으로는 다목적 공연장, 한강 생태관 등을 배치

59:12 ④ BIG “The Ripple ripple”
동서 건축물 상부를 태양광 에너지를 생산하는 캐노피로 덮어 하나의 섬으로 보이도록 제안
○ 작품 설명
- 노들섬을 통해 섬의 경계를 넘어 서울 도시의 미래 지향점을 나타내고자 자급자족이 가능한 태양광 에너지 도입과 방문객의 접근이 쉬우면서도 자연과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
- 동측에 습지대, 텃밭, 산책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서측으로는 호숫가, 정원, 플라자 등을 배치
- 중앙이 가장 높은 오픈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쪽으로 완만하게 덮개 형식으로 이루어 지는 단면 계획

1:25:13 ⑤ 신승수 “Bridged Archipelago archipelago ”
다리로 연결된 군도’라는 개념으로 도시와 자연의 경계들을 잇는 섬들의 집합형태로 노들섬을 표현
○ 작품 설명
- Bridged Archipelago(브릿지드 아키펠러고)는 다리로 연결된 군도라는 개념으로, 도시와 자연의 경계들을 잇는 섬들의 집합 형태로 노들섬을 설계하여, 고립된 교통섬인 노들섬을 도시와 자연을 연결하는 섬으로 변환하고 싶은 건축가의 의지를 표현
- 동측과 서측에 각각 커다란 두 개의 산을 형상화하고, 산 안에는 다시 높이가 다른 여러 개의 섬을 둠
- 여러 개의 섬에는 다양한 높이의 크고 작은 출입구가 있어서, 어디서든 노들섬 내외부 연결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재미와 새로운 영감을 느낌
- 서측에는 공연연습장, 공연장, 야외 예술무대, 갤러리 등이 위치해 있고, 동측에는 실내정원과 아트 파빌리온 공간을 배치

1:41:06 ⑥ 토마스 헤더윅 “Soundscape -scape”
음악적 파노라마는 노들섬 위를 떠다니는 풍경의 한 조각으로 상상되며 물결모양의 음파와 서울의 스카이라인을 따라 산의 윤곽에 반응하는 도시 한복판의 쉼터를 제안
○ 작품 설명
- 노들섬을 단순한 섬이 아닌, 산과 물, 섬을 하나의 공간에 담고자 함
노들섬을 방문하는 사람이 독특한 노들섬의 외향에 영감을 받고, 내부에서는 음악과, 휴식, 사색의 공간을 통해 잊을 수 없는 추억이 됨
- 다양한 곡선으로 한국의 산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외부에서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신비로움을 자아내는 디자인. 다양한 액티비티 공간과 쉼터 등 외부공간과 공연장, 연습장 등을 위한 건물을 배치
- 상부의 구불구불한 산책로는 높이와 폭의 변화를 통해 다채로운 체험을 할 수 있고, 노들섬 하부에서도 다양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 기존의 동서로 분리되어 있던 노들섬을 차도 위에 보행로를 통해 연결하고, 외부에는 수상 예술무대와 휴식, 보행, 공연, 문화공간 등을 배치

2:06:02 ⑦ 김찬중 “Nodeul(r)ing”
가로로 긴 링 형태의 건축물을 통해 한강과 단절된 노들섬을 연결하고, 새로운 개념의 이동수단과 랜드마크 제안
○ 작품 설명
- 한강과 단절된 노들섬을 기하학적 연결을 통해 시민들의 일상 공간으로 회복하고자 함. 이를 위해 새로운 개념의 이동수단과 보행로를 제공하고, 한강을 더 일상적이고,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음
- 캡슐 형태의 관람차가 노들링의 외부를 따라 이동하고, 노들링 내부는 삼각형 모양의 바지선을 연결, 조합을 통해 육각형 모양의 수영장, 디귿자 모양의 야외 예술무대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제안
- 1층 연결 노들링에는 로비, 카페, 승·하차장, 기타 부대시설 등을 배치

일시 : 2023. 04. 20.(목) 17:00
장소 : 8층 다목적홀

#노들섬 #디자인공모 #노들섬디자인
라이브서울_ http://tv.seoul.go.kr
서울시 팟캐스트_http://www.podbbang.com/ch/13364
페이스북_ https://facebook.com/seoul.kr
인스타그램_ https://instagram.com/seoul_official
트위터_ https://twitter.com/seoulmania
카카오스토리_ https://story.kakao.com/ch/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