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딥시크 쇼트 중국의 저비용
인공지능 딥시크의 등장은
한국을 비롯해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AI의 발전이 꾸준히
그리고 혁신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한국이 도세될 수 있겠다는 위기감을 불러왔습니다
AI 시대라고 불리는
요즘 서울시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요?
알면 좋은 서울시 AI 꿀팁 알려드립니다
AI 혁명 시대가 시작된 건
너무나 분명한 것 같습니다
서울시는요 그런 관점에서 보면
세계적인 AI 트랜스포메이션의 상징 도시가 될 수 있을
그런 훌륭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일 보고서 AI와 한국 경제를
한국의 AI 준비지수는
165개국 중 15위로 주요 선진국보다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AI 인적 자본과
노동시장 정책 분야에서는
주요 선진국 165개국 가운데 24위를 기록했는데요
특히 AI 공교육 지출 등이
상대적으로 낮은 점이 반영됐습니다
일자리 분야에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서울시는 이에 발맞춰
청년 일자리 정책 사업인 청년 취업사관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무료지원 디지털 인재 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부터 취업까지
원스토패스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서울시는 20개 청취사를
서울 곳곳에 운영 중에 있고요
데이터 분석과 과정부터
데이터 실무 프로젝트,
데이터 드리븐,
AI 활용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청년 취업사관학교를 거쳐
기업이나 창업에 성공한 누적 취업 창업자 수는
2,981명에 달했습니다
누적 평균 취업률은 75.4%인데요
서울시의 대표적인 청년 디지털 인재 양성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덧붙여 최근 서울시는 청년 취업 사관학교와 관련해
올해 말까지 청취자를 25개로 늘리고
교육 과정을 AI 위주로 재편해
연 4천 명 인원을 육성할 계획이라는 소식을 알렸습니다
AI 시대의 서울시의 포지셔닝을
글로벌 AX 심장
혹은 AX 수로 올리자고 하는 정도의 비전을 잡고
WCA의 굉장히 많은 방법들을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AI 전환 시그널첩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고요
그런 프로젝트를 추진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인재가 양성될 수 있다고
저는 생각을 합니다
AI 경쟁력이 중요해지는 시대에
청년취업 사관학교는
여러분의 AI 포트폴리오를
꽉꽉 채울 수 있는
가장 가까운 방법이 될 수 있겠죠
무료로 AI 역량을
다양한 프로그램을 찾을 수 있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서울 청년취업사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선
자기소개서 작성,
기초지식 레벨 테스트,
면접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현재 서울시는 딥시크를 능가하는
AI 기업을 키우겠다는 목표 아래
서울의 앞선 교육 인프라를 활용해
AI 테크시티 조성,
연 1만 명 AI 인재를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모든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AI 서울시의 교육 인프라로
AI 역량을 갖춘
차세대 맞춤 인재로 성장해보시죠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꼭꼭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