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화력발전소(당인리발전소)
(영상자막)서울시 마포구 토정로 56(당인동 1)
(영상자막)
1929년 경성전기주식회사에서 1호기 건설 착수
1930년 1호기 준공 및 전력생산 개시
1936년 2호기 준공 1956년 3호기 준공
1957년 조선전업주식회사가 운영권 인수
1961년 한국전력공사가 인수 및 운영
1969년 서울화력발전소로 명칭 변경
1969년 5호기 준공 1970년 1호기 및 2호기 철거
1971년 4호기 준공
1982년 3호기 철거
2001년 지역난방공사 건물 준공
2004년 4, 5호기 수명 연장 공사
2013년 서울복합화력발전소(지하) 1, 2호기 착공
2015년 4호기 폐지 2017년 5호기 폐지
2019년 서울복합화력(지하발전소, 738MW)준공
2020년 6월 지상부 공원 "마포새빛문화숲" 조성 완료
2021년 4월 서울발전본부 지상부 공원 "마포새빛문화숲" 시민개방
2023년 초 서울화력 4, 5호기 문체부주관 당인리문화창작공간 리모델링 착공 예정
(영상자막)이 인터뷰는 서울시 미래유산 심층기록을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일시는 2022년 9월 26일
장소는 서울시 마포구 토정로 56(당인동 1) 서울화력발전입니다.
구술자는 서울화력발전소 서울발전본부
한 철 수 시설관리부 차장입니다.
(영상자막)자기소개를 간략하게 부탁드리겠습니다.
한 철 수 차장
서울발전본부 시설관리부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서울화력발전소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지상부분에 개방된 발전소는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발전소를 지하화한 이유는?
(영상자막)서울화력발전소가 '당인리발전소'로 불린 이유는?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서울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어떻게 공급되는지?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서울화력발전소를 견학하는 방법은?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서울미래유산으로 서울화력발전소는 어떻게 기억되기를 원하십니까?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