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00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
00:00:03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은 대학원생들이 서울시 데이터를 활용해
00:00:08 시민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고
00:00:11 시정에 반영하는 시민참여형 데이터 분석 사업입니다
00:00:15 서울시의 주요 이슈를 다루는 지정 주제와
00:00:18 참가자가 자유롭게 제안하는 자유 주제로 나뉩니다
00:00:23 2024년에는 총 7개 팀이 참여하여
00:00:26 서울시의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00:00:29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하였습니다
00:00:31 지금부터 분석 사례를 소개합니다
00:00:35 1팀은 수변 공간의 이용 패턴 분석과
00:00:38 기능적 유형화를 통한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00:00:43 한강 공원의 이용 패턴을 분석해
00:00:45 계절, 요일, 시간대별로 활용도를 파악하고
00:00:49 다목적 레저 공간으로 발전할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00:00:54 생활 이동 데이터를 통해
00:00:55 한강 수변 공간의 활성화에
00:00:57 다양한 요소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번 연구는
00:01:01 향후 한강 수변공간 활성화 정책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00:01:07 2 팀은 통근 통학 수요응답형 종달새 버스 서비스의 영역 제안을 하였습니다
00:01:13 생활 이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00:01:16 출퇴근 혼잡 완화를 위한
00:01:17 종달새 버스의 서비스의 영역을 설계하고
00:01:20 이를 해결할 수 있는 13개 구역을 선정했습니다
00:01:25 ROI 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입증했으며
00:01:28 이 연구는 서울시의 교통 사각지대 해소와
00:01:32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00:01:35 3팀은 노인 생활활력 및 생활권 기반
00:01:39 노인복지주택 입지의 선정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00:01:42 노인의 생활활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00:01:45 서울 노인복지주택의 최적 입지를 도출했습니다
00:01:49 생활중심지와 생활편의가 높은 지역을
00:01:52 유전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후보지를 제안하며
00:01:57 취약계층을 위한 공공주택 확대에 대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여
00:02:01 서울시의 주거안정 정책에 기여하고자 했습니다
00:02:05 4팀은 코로나19 이후 골목상권 및 전통시장 역량 강화,
00:02:10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00:02:12 상권 유형화 및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습니다
00:02:16 코로나로 침체된 서울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의 회복을 위해
00:02:21 2019년부터 2023년 매출 및 창폐업률 데이터를 분석해
00:02:26 상권 유형별 맞춤형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00:02:30 이 연구는 서울시의 골목상권과 전통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00:02:33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00:02:37 5팀은 공용주택 설치를 통한 지역발전과 청년자산 형성을 위한
00:02:42 데이터 분석 기반의 정책을 제안했습니다
00:02:46 데이터를 기반으로
00:02:47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 완화를 위해
00:02:49 공용주택의 최적 입지를 제안하고
00:02:53 서울의 중랑구, 성북구, 은평구 일대를 최적 후보지로 선정했습니다
00:02:59 이번 연구는 서울시 청년층의 자산 형성 및
00:03:02 안정적 주거 환경 마련에 기여할 자료로 활용될 것입니다
00:03:07 6팀은 수요 기반 공공형 노인복지주택
00:03:11 최적 입지 후보지 선정을 하였습니다
00:03:14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00:03:17 공공 노인복지주택의 최적 입지를 선정했습니다
00:03:21 예산, 건설비, 대중교통 및 의료시설 접근성을 고려해
00:03:26 주거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지역을 수리모형으로 도출하고
00:03:30 지도 형태로 구체적인 입지 후보지를 제시했습니다
00:03:35 이 연구는 서울시 저소득층 노인의
00:03:37 안전한 주거 환경 마련에 기여할 것입니다
00:03:41 7팀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00:03:43 서울시 대중교통 전용지구 운영의 효과성 평가 및
00:03:47 정책 방안 제안을 하였습니다
00:03:49 빅데이터를 활용해 서울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00:03:53 도심 활력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여
00:03:56 보행자 친화 환경이 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임을 확인했습니다
00:04:01 아울러 지속적인 효과를 위하여
00:04:03 콘텐츠 개발과 상권 연계 이벤트를 제안하였습니다
00:04:07 이 연구는 서울시가 보행특별시로 발전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00:04:12 서울 데이터 펠로우십은 2022년에 첫 시작하여
00:04:17 매년 서울시의 정책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00:04:21 모든 연구 결과는
00:04:23 서울시 열린 데이터 광장에서
00:04:24 무료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00:04:27 서울시는 앞으로도 시민을 위한 정책을 발굴하여
00:04:31 실질적인 변화와 희망찬 미래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00:04:35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