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생방송 오늘아침> - 투명페트병 분리배출제
코로나19 감염이 계속되는 요즘 외출하기가 무섭죠
결국 자연스레 집콕 생활을 즐기다 보니
온라인 쇼핑도 많이 하게 되는데요
먹거리부터 각종 생필품을 모조리
택배로 받는 일도 많지요
저도 그렇습니다
택배 오는 시간만 기다리고 있어요
뭐가 왔나 열어보는 시간이 가장 즐겁죠
박스는 재활용해야 되니까
정리 좀 해두려고 나갔는데
글쎄
쓰레기가 왜이렇게 많아!?
쓰레기가 아주 꽉꽉
다용도실을 가득 채우고 있더라고요
일단 하나하나 버려볼까?
이걸 다 꺼내는 것도 일이잖아요
그래서 먼저 가벼운 것들만 들고 나갔는데요
그렇지 캔, 플라스틱, 페트병, 스티로폼, 비닐
플라스틱이니까 플라스틱
종류별로 차곡차곡
페트병은 여기로 슝
슝 버리는데
이거 여기다 버리시면 안 돼요
(영상자막)허경아 관리소장
관리소장님이 막더라고요
아니 왜요?
너무한 거 아니에요?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네?
페트병 수거함 말고 버리는 곳이 따로 있다는데
대체 이게 무슨 말장난인가 싶어 따라가 봤더니
진짜 있습니다
투명 배트병 수거함
이런 거 본 적이 없는데
대체 언제부터 여기 있었대요
언제부터 그렇게 구체적으로 나눠서 버렸어요?
(영상자막)허경아 관리소장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투명 페트병 분리 배출에 앞장서고 있다는 이곳
입주민들의 생각은 어떨까요?
(영상자막)김소라 입주민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입주민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이준서 입주민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영상자막)공동주택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의무화 시행
기간: 2020년 12월 25일~
지금은 시범 운영 중인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다가오는 25일부터는 전국 공동주택에서 의무화가 시행되고요
(영상자막)단독주택 분리배출 의무화 시행
기간: 2021년 12월 25일~
(비닐 및 투명 페트병 지정된 요일에 분리 배출)
단독주택의 경우는 단계적으로 확대되어 내년 12월 25일부터 시행이 됩니다
그렇다면 투명 페트병 제대로 버리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영상자막)1. 투명 페트병 내용물을 비우고 헹구기
투명 페트병은 내용물을 비우고
(영상자막)2. 라벨 제거하기
라벨지를 띈 다음에
(영상자막)3. 찌그러트려 뚜껑 닫기
찌그러트려서 부피를 줄인 다음에
(영상자막)4. 전용수거함 배출
버려주셔야 돼요
그런데 투명 페트병 분리 배출이 필요한 이유가 뭘까요?
(영상자막)정미선 과장/ 서울시 자원순환과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연간 2만 2천 톤의 페트병을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렇죠 제대로 배출되어야지만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
그래서 다시 한 번 분리배출 복습해봤어요
압축했으니까 여기다가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기다가요?
네
(영상자막)일반 페트병(색깔 있는 페트병)이나 플라스틱은
투명 페트병과 분리 배출해야 한다
색이 있는 페트병의 경우는 원래 수거되던 페트병
수거함에 따로 분리 배출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분리 배출된 페트병 어디에 이용되는 걸까요?
실례합니다
아니, 저기 제가요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오 옷으로요?
이게 무슨 말이죠?
어떻게 페트병이 가방이랑 옷으로 변한다는 거죠?
(영상자막)서강희 이사/ 페트병 활용 업체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여러 번의 가공을 거치면 투명 페트병이 이렇게 예쁜 원사가 되어
섬유로 재활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장점이 뭘까요?
(영상자막)서강희 이사/ 페트병 활용 업체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페트병을 재생 폴리에스터 원사로 바꾸면 환경에도 좋은 물건으로 재탄생이 된답니다
[영상 내 자막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투명 페트병이 재탄생할 수 있도록 25일부터 꼭 함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