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상세
소통방통
소통방통(15.12.7.월.478회)-(겨울철 재난대비)
2015-12-07
한파와 폭설 등 겨울철 자연 재해와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재난 약자를 보호하기 위해
우리시가 내년 2월까지
긴급 구조 대책을 추진합니다.
우선 한파와 대설, 강풍 등
각종 재난이 발생하면
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하고,
재난신고와 의료상담을 위한
비상상황체계를 24시간 운영합니다.
소외계층을 위한
안전, 복지 서비스도 확대되는데요.
한파특보가 발효되면
소방대원이 홀로 사는 중증장애인 가정을
하루에 한 차례 방문해 안전을 챙기고,
노숙인 밀집 지역과 쪽방촌을 순회하면서?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정전으로 인한 승강기사고,
수도, 가스 등 각종 사고에 대비해
긴급구조 다중출동체계를 운영하고,
빙판길 낙상사고에 대비해
구급 이송체계도 재정비했습니다.
이 밖에 한파나 대설특보 주의보
또는 경보가 내리면 119 구조대가
고드름과 도로결빙 제거에도
나설 계획입니다.
서울 시내 골목상권 점포의
절반 이상이 5년을 넘기지 못하고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패를 줄이려면 무엇보다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데요.
우리시가 빅데이터를 이용해
창업 위험도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시범 운영하고 있습니다.
-------------------------------------
영세 소상공인들을 위해
우리시가 빅데이터를 활용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내놨습니다.
2,000억 개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1천 여 곳의 골목상권을 분석해
창업 위험도나 주변 상권분석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이상이 팀장/빅데이터전략팀(0006-0038)
“소상공인들을 위해 발달상권을 제외하고 서울시 전역에서 1,008개의 골목 상권을
추출했고요. 이곳에서 음식점이나 미용실 같은 43개 생활밀착형 업종에 대해서 서울
시의 인허가 데이터나 카드사의 매출 데이터를 포함한 32종의 2,000억 개 이상의 빅
데이터를 분석해서 창업에 대한 위험도와 상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구체적으로 해당 상권의 창업 위험도를
4단계 색깔로 보여줘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고,
맞춤형 상품검색서비스를 통해
관심 있는 골목상권의 점포수와
점포 당 평균 매출액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골목상권이 아니라도
원하는 지역을 설정하면
해당 상권의 요일과 시간대별 유동인구와
주변 아파트 세대수 등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꼭 창업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잘 활용한다면
신규 창업자는 실패를 줄이고,
이미 가게를 꾸린 자영업자도
자생력을 키우는 계기로 삼을 수 있습니다.
▶이상이 팀장/빅데이터전략팀(0107-0130)
“서비스를 충분히 활용하신다면 신규 창업자는 3년 생존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기존의 자영업자는 마케팅에 충분히 활용해서 매출을 증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고, 또 일자리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
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 서비스는
시 홈페이지에 가입하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세금납부가 한결 빠르고 편리해졌습니다.
우리시가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세금을 납부할 수 있는
‘스마트폰 간편 세금납부’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단 20초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
우리시가
모든 지방세와 세외수입고지,
상하수도 요금을 카카오페이와
신용카드 앱카드로 낼 수 있는
‘스마트폰 간편 세금납부’ 서비스를
이번 달부터 시작했습니다.
12월 자동차세가 첫 대상인데요.
서울시 세금 납부 어플리케이션에서
카카오페이와 6개 신용카드사의 앱카드,
우리은행의 위비뱅크로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결제할 때마다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거나
컴퓨터에 결제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는 게
최대 장점입니다.
더불어 우리시는
스마트폰에서 지방세 고지서를 확인하고
앱을 통해 바로 납부까지 가능한
'스마트폰 전자고지' 서비스도 시작했는데요.
서울시 세금납부 앱에서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하거나,
가까운 구청에서 신청하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핀테크 기반의 모바일 결제 방식을
공공기관에서 도입한 건 우리시가 처음인데요.
앞으로 지방세 납부가 보다 간편해지고
건전한 세수 증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통방통 여기까집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