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하단으로 바로가기
내손안에서울

라이브 서울

검색

프로그램 상세

영상 상세

길제 장법 장묘 소상 초종 소렴 대렴 성복 조상 문상 치장 천구
[세시풍속과 통과의례] 한국 전통 상례
2006-11-24

  • 다운로드
  • 공유하기
  • 좋아요



강사 : 김시덕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관)



1. 일생의례 속의 상례
1)상례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의례
2)상례의 특징
죽은 이가 의례를 주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이가 주제가 되어 진행한다.
3)중국 상례와 차이점:
중국에서 들여온 주자의 ‘가례’를 기본으로 상례를 치렀으나 한국에선 ‘길제’가 중요시 되었다.

2. 장법과 장묘
1)장법(葬法) : 주검을 처리하는 다양한 방법
2)장례 : 상례의 부속적인 절차로서 시신을 매장하는 과정만을 지칭하는 용어

3. 상례의 절차
1) 초종(初終 : 1일째) : 죽음을 맞이하는 절차
2) 습(襲, 1일째) : 시신을 깨끗이 씻기고 수의를 입혀 시신을 정화하는 절차
3) 소렴(小斂, 2일째) : 흐트러짐이 없도록 시신을 베로 싸서 묶어 입관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절차
4) 대렴(大殮, 3일째) : 소렴에서 싸서 묶은 시신을 입관하는 절차
5) 성복(成服, 4일째) : 오복제도에 맞추어 상주들이 복을 입는 것을 말함
6) 조상(弔喪) : 상주를 위로하고 망자에게 인사
7) 문상(聞喪) : 상주가 멀리서 부고를 들었을 때 하는 행위와 일, 성복하는 일시 등에 관한 절차
8) 치장(治葬) : 장사할 장소와 시간을 정하는 절차
9) 천구(遷柩) : 발인 전 1일 부터 발인하기 위해 영구를 옮기고 조상에게 인사하는 모든 절차
10) 발인(發靷) :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운반하는 행상(行喪)의 절차
11) 급묘(及墓) : 영구가 장지에 도착하여 하는 일
12) 반곡(反哭) : 영여를 모시고 장지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절차
13) 우제(虞祭) : 부모의 장사를 지내고 영혼을 맞이해 위안하기 위해 초우, 재우, 삼우제를 지낸다.
14) 졸곡(卒哭) : 곡을 그치는 절차로 민간에서는 씻김굿을 하기도 함
15) 부제(?祭) : 망자의 신주를 조상의 사당에 함께 모시도록 하는 절차
16) 소상(小祥) : 기년(忌年)에 망자를 기리는 제사로 만 13개월이 되는 날에 함
17) 대상(大祥) : 죽은 후 25개월 만에 지내는 제사
18) 담제(談祭) : 27개월이 되는 날에 평상의 상태로 돌아가기를 기원하는 제사
19) 길제(吉祭) : 망자의 혼령을 조상신으로 완전히 전이시키는 절차

4. 상례의 구조
1) 상례의 주체
2) 망자를 위한 의례
3) 혼을 위한 의례
4) 조상신을 위한 의례
5) 상주와 공동체를 위한 의례

5. 상례의 의미
1) 의례 : 개인 혹은 집단의 사적인 행위를 공적인 행위로 공식화시키기 위해 행하는 일정한 의식
2) 상례의 구조 : 연장자의 죽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의례로 구성되어 있다.
3) 3회, 3일의 법칙
① 3번은 불러야 돌아오는 영혼
② 시신처리 준비기간 3일
③ 3일이 지나야 상주가 된다.
④ 조상신의 승화도 3단계 - 우제 : 초우, 재우, 삼우
4) 추가와 반복의 법칙
① 소상과 대상
② 담제
③ 길제(吉祭)
5) 한국의 전통 상례의 의미
효를 바탕으로 공동체 사회를 올바르게 유지해가고자 갖는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제작일시 : 2006.11.24]

서울역사강좌- 통과의례와 세시풍속은, 특별한 의례들을 통해 선조들의 지혜와 미덕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삶의 기본인 풍요와 건강을 획득하는데 의의를 둡니다.